뉴욕 월가, 스태그플레이션 공포 이어질지 예의주시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 조회 4
본문
뉴욕 월가, 스태그플레이션 공포 이어질지 예의주시

지난주 스태그플레이션 공포 확산
다우존스 지수 2023년 1월 이후 최대 낙폭 기록
이번주 PCE 발표 내용에 따라 뉴욕증시 좌우될 듯
이번 주(24~28일) 뉴욕 주식시장에선 지난주에 확산했던 스태그플레이션 공포가 이어질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특히 28일(현지시간) 나오는 미국 중앙은행(Fed)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에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PCE는 Fed가 소비자물가지수(CPI)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물가 지표다.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인 21일 뉴욕증시는 경기 둔화와 인플레이션 고착화에 대한 투자자 우려 속에 동반 하락했다. 이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48.63포인트(-1.69%) 내린 43,428.02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올해 들어 가장 큰 낙폭이다. 이날 나온 경제 지표가 경기 둔화 우려를 일으켜서다. S&P 글로벌에 따르면 2월 미국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7로, 2023년 1월 이후 25개월 만에 처음으로 움츠러들었다. 앞서 나온 1월 CPI는 3.0% 상승률을 기록하며 인플레이션 재점화 우려를 부추겼다. 경기 침체 상황에서도 물가가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한편 첫 거래일인 24일에는 댈러스 연은 2월 제조업지수가 나온다. 그다음 날인 25일에는 12월 S&P 케이스-실러 주택가격 지수와 콘퍼런스보드(CB)의 2월 소비자신뢰지수 등의 지표를 만날 수 있다. 26일에는 1월 신규주택 판매가 발표된다.
27일에는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 건수를 시작으로 1월 미국 내구재 주문, 미국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잠정) 등이 예정돼 있다. 28일에는 PCE를 비롯해 1월 미국 상품무역수지(속보), 2월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PMI) 등이 나온다.
이번 주에는 연준 주요 인사의 발언도 준비돼 있다. 25일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ㆍ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ㆍ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를 시작으로 △26일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27일 바 부의장ㆍ미셸 보먼 연준 이사ㆍ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ㆍ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28일 굴스비 총재ㆍ바킨 총재 등이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낸다.
26일 장 마감 후 나올 엔비디아의 4분기 실적발표도 주목된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시장을 뒤흔든 후 내놓는 첫 실적이다. 엔비디아는 2025년 회계연도 4분기(2024년 11월~2025년 1월) 매출이 38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자료
-
다음